Ecole Poly technique의 초대교장을 역임했던 Jean-Nicolas-Louis Durand(1760-1834)은 클렌체의 건축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뒤랑은 프랑스 혁명의 정신으로부터 파생된 새로운 평등주의 건축의 기초를 세웠는데 그것은 합목적성과 효율성의 원칙에 따라 정립된 건축이었습니다. 공학적인 합리적 사고를 통한 설계의 경제성과 기능을 중요하게 여기며 설계와 건설에서의 효율성을 추구했는데요. 이러한 신념은 건축의 단순함 그것에 도달하기 위한 표준화의 개념에 도달하게 됩니다. 강의내용을 정리하여 출판한 Preçis des leçons d’architecture données à l'Ecole polytechnique (2 vol. )에 그의 합리주의적 건축관이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
Preçis des leçons d’architecture, Durand, 1802-1805
위의 그림들은 뒤랑에 의해 고안되고 발전된 설계시스템을 보여줍니다. 정방형 격자 위에 평, 입, 단면을 결정하고 두 개의 기둥 사이의 간격이 구조적인 척도의 기본이 됩니다. 이것은 이전까지의 고전주의 건축의 접근방법과는 다른 것이었는데요. 동일한 격자 위에서의 설계. 기능적 적합함과 구조적 효율성. 이 새로운 건축관에 클렌체는 많은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클렌체의 글립토텍과 알테 피나코텍의 평, 입면을 살펴보도록 하죠.
Proportionsanalyse der Glyptothek. Aufriss der Hauptfassade. München
Proportionsanalyse der Glyptothek. Grundriss. München
글립토텍의 주입면도를 보면 기둥의 간격에 맞춰 하나의 작은 모듈이 형성되있고 이 작은 모듈 7개가 모여 큰 모듈을 형성합니다. 이 큰 3개의 모듈이 모여 전체 폭을 형성하는데 평면을 보면 커다란 3*3 모듈에 맟춰 설계가 이루어 졌음을 볼 수 있습니다. 중앙 입구부분을 통해 전시공간으로의 동선과 중정으로의 동선을 분리하고 건물의 기능에 맞게 한 방향 순환식으로 전시 공간을 배치 하였습니다. 외부로부터의 빛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해 북쪽 벽을 제외한 외부의 벽에는 창을 두지 않고 중정쪽에 집중적으로 창을 배치하였습니다.
Proportionsanalyse der Alten Pinakothek. Grundriss. München.
Proportionsanalyse der Alten Pinakothek. Aufriss. München.
알테 피나코텍 계획 당시의 평면과 입면인데요. 지금과는 다른 모습입니다. (지금의 알테 피나코텍은 2차 세계대전 때 폭격에 의해 일부 파괴 되었던 것을 1952-1957년 사이 Hans Döllgast의 설계에 의해 재보수 공사를 한 것입니다.) 평면을 보면 기둥 사이의 간격이 작은 모듈을 형성하고 5개의 모듈이 큰 하나의 모듈을 형성합니다. 평면상에서 작은 5*3 모듈이 주 입구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 옆으로 3*3 모듈의 부속공간이 붙습니다. 5개의 5*5 모듈은 주 전시공간을 형성합니다. 평면과 마찬가지로 입면 상에도 입구가 있는 중요부분은5*5 모듈로 크기를 설정했습니다. 남쪽면에는 창들과 함께 긴 복도가 위치되어있고 중앙 부분에는 메인 전시 공간들이 좌우 대칭으로 위치합니다. 북쪽으로는 기본모듈 크기의 부속 전시공간이 연결되어있습니다.
클렌체의 많은 작업들이 뒤랑의 격자설계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졌는데요. 위의 두 예만 보더라도 뒤랑이 주장했던 합목적성과 효율성의 원칙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재밌게 생각하는 것은 클렌체의 다른 몇 개의 작업에서 나타나는 모뉴멘탈함과 신화적 상상력인데요. 예를 들자면 Regensburg의 Walhalla와 Kelheim의 Befreiungshalle입니다. 이것들은 다음에 이야기 나눠보도록 합시다.
(위의 내용은 뮌헨의 노이에 피나코텍 건축박물관 관장으로 계시고 뮌헨 공대에서 건축이론을 가르치셨던 Winfried Nerdinger 교수의 수업내용과 그가 저술한 Leo von Klenze – Architekt zwischen Kunst und Hof 1784-1864에서 발췌했음을 밝힙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